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
1-1. 유한소수와 무한소수 안녕!!! 개신등장이요^^ (개념의신을 줄여서 개신이야) 오늘은 유한소수와 무한소수의 개념을 개신이 끝장내줄께 먼저 유리수라는 녀석을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야해 얘들아! 유리수가 뭘까? 유리수는 분수꼴이야!! 간단하지 ^^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유리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다. 문자로 간단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지. 우리는 이것만 기억하도록 하자. 유리수 = 분수꼴 자 그럼 이제부터 집중!!! 분수는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 정수 또는 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게 !! 처음 것 처럼 소수점 아래의 0이 아닌 숫자가 유한 번 나타나는 소수를 유한소수라 하고, 두번째 것 처럼 소수점 아래의 0이 아닌 숫자가 무한 번 나타나는 소수를 무한소수라고 해. 따라서 소수는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분류된다...
1-2. 소수와 합성수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를 소수라고 한다. 위의 표와 같이 1과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가지는 수, 즉 2, 3, 5, 7 이 소수이다. 이때, 소수는 약수가 2개임을 알 수 있다. tip) 2는 소수중에 유일한 짝수이다. 또,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소수가 아닌 수를 합성수라 한다. 위의 표에서 소수가 아닌 수, 즉 4, 6, 8, 9, 10은 합성수이다. 이때, 합성수의 약수의 개수는 3개 이상임을 알수 있다. 그럼 1은? 1은 약수가 1 뿐이므로 소수도 아니고 합성수도 아니다. 자연수는 약수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모든 합성수는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소수(素數)(prime number)는 자연수의 바탕이 되는 수..
1-1. 거듭제곱 같은 수를 여러 번 더한 것을 곱셈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하는 것을 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곱하는 수 2를 거듭제곱의 밑, 곱하는 횟수 2,3,4,..를 거듭제곱의 지수라고 한다. 참고로 거듭제곱과 곱셈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거듭제곱을 처음 배울때 많은 학생들이 2의 세제곱을 6이라고 대답한다. 2의 세제곱은 8이다. 곱하는 수가 분수이거나 분모에 같은 수의 곱이 있는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곱하는 수가 2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거듭제곱으로 나타낸다. 밑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더 이상 간단히 나타낼 수 없으며, 밑이 여러 개인 거듭제곱끼리의 곱은 밑이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나타낸다.

LIST